“정년이 65세로 바뀐다더라”는 말, 이제 단순한 소문이 아닙니다. 그 변화의 한가운데에는 1967년생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67년생이 언제부터 정년연장의 영향을 받게 되는지, 그리고 실제로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쉬운 말로 정리해볼게요.
정년을 늘리는 이유부터 알아야 한다
퇴직은 60세, 연금은 65세. 이 사이 5년 동안은 아무런 소득이 없는 ‘공백기’가 생깁니다. 이게 바로 정년연장 논의의 출발점이에요.
정부는 이 공백을 줄이기 위해 정년을 단계적으로 63세 → 64세 → 65세까지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일할 수 있는 사람은 더 오래 일하고, 소득이 끊기지 않게 하자는 거예요.
67년생은 어떤 영향을 받게 될까?
67년생은 현재 만 58세 전후로, 정년연장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시점과 맞물린 세대입니다. 즉, 지금은 전환기의 ‘중심’에 서 있다고 할 수 있죠.
| 단계 | 정년 나이 | 적용 예상 시기 | 67년생 적용 시점 |
|---|---|---|---|
| 1단계 | 63세 | 2027년 전후 | 2029년부터 적용 예상 |
| 2단계 | 64세 | 2028년 ~ 2032년 | 2030년대 초반 예상 |
| 3단계 | 65세 | 2033년 이후 | 2032년 이후 완전 적용 가능 |
정리하면, 67년생은 정년 63세 체계부터 65세 완전 적용까지 전 과정을 직접 겪게 될 가능성이 높은 세대입니다. 앞 세대보다 늦게 태어났지만, 제도의 ‘완성 단계’에 가장 근접한 세대죠.
정년연장이 의미하는 변화
- 퇴직 시점이 3~5년 늦어짐 → 연금 받기 전까지 소득이 이어짐
- 임금체계 조정 → 임금피크제, 재고용제도 확대 가능
- 직장 내 역할 변화 → 경력자 중심의 일자리 비중 확대
즉, “더 오래 일하라”는 의미보다, “연금 받기 전까지 끊기지 않게 버틸 수 있도록 하자”는 현실적인 정책이에요.
회사마다 속도가 다르다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은 제도 시행이 빠를 것으로 보이지만, 중소기업은 인건비 구조나 내부 규정에 따라 시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67년생이라면 자신의 회사 정년 규정을 미리 확인해두는 게 좋습니다.
67년생이 지금 준비해야 할 3가지
- 국민연금 개시 나이 확인: 65세부터 지급 시작.
- 정년 규정 점검: 2027년 이후 회사별 정년 연장 반영 여부 확인.
- 체력·직무 유지력 확보: 60대 초반까지 근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리.
요약하자면
- 67년생은 정년연장 제도가 본격 적용되는 핵심 세대
- 2029년 전후부터 정년 63세 → 65세 순차 확대 예상
- 퇴직과 연금 사이의 공백을 최소화하는 ‘전환기 세대’
정년연장은 단순히 몇 년 더 일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이제는 소득이 끊기지 않는 구조를 만드는 시대적 변화예요. 67년생에게는 이 변화가 노후를 지탱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