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누리 지원금, 도대체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직원 몇 명만 고용해도 사회보험료가 꽤 부담되죠. 정부가 영세사업장에 제공하는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제도는 이 부담을 확 줄여줍니다. 2025년 기준으로 근로자 1명당 매달 최대 23만 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두루누리 지원금 금액 계산법
두루누리 지원금, 계산 원리는?
두루누리 지원금은 ‘정부가 대신 내주는 사회보험료’라고 보면 됩니다.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보험료의 80%를 지원해주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지원금은 근로자 급여(보수)와 보험요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 지원대상: 근로자 10명 미만 사업장
- 근로자 월평균 보수: 270만원 미만
- 지원항목: 국민연금 + 고용보험 보험료
- 지원비율: 80%
1. 국민연금 지원금 계산
국민연금 요율은 9%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4.5%씩 부담합니다.
예시) 월급 270만원 근로자
- 총 보험료: 270만원 × 9% = 243,000원
- 정부지원(80%): 243,000원 × 80% = 194,400원
- 실제 부담: 사업주 24,300원 / 근로자 24,300원
즉, 정부가 매달 약 19만원을 대신 내주는 셈입니다.
2. 고용보험 지원금 계산
고용보험 요율은 평균 1.8%(사업주·근로자 합산 기준)입니다.
예시) 월급 270만원 근로자
- 총 보험료: 270만원 × 1.8% = 48,600원
- 정부지원(80%): 48,600원 × 80% = 38,880원
- 실제 부담: 약 9,720원
3. 월 최대 지원금 합계
| 항목 | 보험요율 | 지원비율 | 월 지원액 (270만원 기준) |
|---|---|---|---|
| 국민연금 | 9% | 80% | 194,400원 |
| 고용보험 | 1.8% | 80% | 38,880원 |
| 합계 | – | – | 약 233,000원 |
👉 즉, 근로자 한 명당 월 23만원 지원, 연간으로 보면 약 280만원 절감 효과가 발생합니다.
만약 근로자 3명을 고용하고 있다면, 매년 840만원 이상의 사회보험료 절감이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4. 지원금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두루누리 지원금은 현금으로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보험료 고지서에서 자동 감면되는 방식입니다. 즉, 매달 내야 할 국민연금·고용보험료가 80% 깎여 청구됩니다.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부담해야 하는 금액만 자동 계산되어, 별도 환급이나 입금 절차 없이 다음 달 고지서에 바로 반영됩니다.
5. 실제 예시 비교
아래 표는 월급 수준별 예상 지원금입니다. (2025년 기준)
| 월급(보수) | 국민연금 지원액 | 고용보험 지원액 | 월 총 지원금 |
|---|---|---|---|
| 150만원 | 108,000원 | 21,600원 | 129,600원 |
| 200만원 | 144,000원 | 28,800원 | 172,800원 |
| 250만원 | 180,000원 | 36,000원 | 216,000원 |
| 270만원 | 194,400원 | 38,880원 | 233,280원 |
6. 주의할 점
- 보수가 270만원을 초과하면 지원 중단
- 고용보험·국민연금 미가입자는 지원 불가
- 지원은 신규가입 근로자 기준 (기존 근로자는 제외될 수 있음)
- 폐업·퇴사 시 즉시 신고해야 과다지원 방지
요약: 근로자 1명 = 월 23만원, 연 280만원 절감
두루누리 지원금은 단순한 보조금이 아니라, 매달 자동으로 감면되는 ‘현실적 절세 효과’입니다. 소규모 사업장이라면 근로자 한 명만 있어도 충분히 받을 수 있습니다.
매달 내던 사회보험료 중 80%를 정부가 대신 내주는 제도,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