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비 환급 소득분위 확인법 건보료 기준(2025)

병원비 환급 소득분위 확인법을 2025년 기준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나는 몇 분위일까?” 병원비 환급 제도인 본인부담상한제를 이용하려면 가장 먼저 내가 속한 소득분위를 알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환급 기준이 되는 상한액이 소득분위별로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소득분위가 중요한 이유

본인부담상한제는 건강보험 적용 병원비가 연간 일정 금액을 넘으면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이때 환급 한도인 상한액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지 않고, 소득수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상한액이 낮아 환급을 빨리 받을 수 있고, 고소득층은 상한액이 높아 환급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내가 몇 분위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환급 여부를 가르는 핵심입니다.

2025년 소득분위별 기준보험료 구간

아래 표는 2025년 기준으로,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의 월 보험료 구간입니다.

소득분위지역가입자 보험료직장가입자 보험료
1분위13,850원 이하57,070원 이하
2~3분위13,850원 초과 ~ 19,780원 이하57,070원 초과 ~ 83,570원 이하
4~5분위19,780원 초과 ~ 31,030원 이하83,570원 초과 ~ 110,680원 이하
6~7분위31,030원 초과 ~ 89,500원 이하110,680원 초과 ~ 159,250원 이하
8분위89,500원 초과 ~ 134,440원 이하159,250원 초과 ~ 200,730원 이하
9분위134,440원 초과 ~ 209,970원 이하200,730원 초과 ~ 273,380원 이하
10분위209,970원 초과273,380원 초과

본인부담상한제 소득분위 확인 방법

소득분위는 소득 자체를 직접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매달 납부하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즉, 내가 내고 있는 건강보험료만 확인하면 소득분위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1. 직장가입자 확인법

  • 급여명세서를 확인해 매월 공제되는 ‘건강보험료’ 금액을 확인
  • 또는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건강iN) → 보험료 조회 메뉴에서 확인

2. 지역가입자 확인법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송하는 보험료 고지서 확인
  •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The건강보험 앱에서 로그인 후 조회

3. 전화 확인

  •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1577-1000)에 본인 인증 후 문의
  • 상담원이 바로 내 소득분위 구간을 알려줌

사례로 보는 분위 확인

예시 1) 직장인 A씨의 월 건강보험료가 95,000원이라면 → 83,570원 초과 ~ 110,680원 이하 → 4~5분위

예시 2) 자영업자 B씨의 월 건강보험료가 160,000원이라면 → 134,440원 초과 ~ 209,970원 이하 → 9분위

소득분위별 상한액 차이

소득분위가 정해지면, 그에 따른 환급 상한액이 적용됩니다. 2025년 기준, 1분위는 89만 원까지만 부담하면 되고, 10분위는 826만 원까지 부담해야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득이 낮은 구간일수록 병원비를 더 빨리 환급받게 됩니다.

정리

본인부담상한제 소득분위 확인법은 간단합니다. 매달 납부하는 건강보험료 금액을 확인하고, 2025년 기준표와 비교하면 내가 속한 분위가 정해집니다. 환급을 받으려면 반드시 내 소득분위를 알아야 하므로, 급여명세서나 공단 고지서를 확인하거나 고객센터에 문의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