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받을 수 있을까?”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은 단순히 소득이 적다고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아닙니다. 정부는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으로 생계유지가 어려워진 가구’를 지원하기 때문에, 소득·재산·금융자산 등 복합적인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2025년 기준 최신 선정기준을 근거로, 지원 가능 여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지원대상 기준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은 어떤 위기상황에서 받을 수 있을까?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사유에 해당하면 ‘위기상황 가구’로 인정됩니다.
- 주소득자의 사망, 가출, 구금, 행방불명 등으로 인한 소득 상실
- 중한 질병이나 부상으로 근로능력을 상실한 경우
- 화재, 자연재해, 범죄피해 등으로 생계가 곤란한 경우
- 가정폭력·성폭력 등으로 기존 가구에서 생활이 불가능한 경우
- 실직, 휴폐업 등으로 갑작스럽게 소득이 중단된 경우
즉, ‘예상치 못한 위기’로 생활이 어려워졌다는 사실이 객관적으로 확인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경제적 어려움만으로는 지원대상이 아닙니다.
소득기준은 얼마 이하일까?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은 기준 중위소득의 75% 이하일 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 | 월 소득 기준 (이하) |
---|---|
1인 | 1,794,010원 |
2인 | 2,949,494원 |
3인 | 3,769,015원 |
4인 | 4,573,330원 |
5인 | 5,331,144원 |
6인 | 6,408,604원 |
7인 이상 | 1인 증가 시 692,717원씩 추가 |
예를 들어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소득이 457만 원 이하라면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대상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재산 기준은 어떻게 적용될까?
소득 외에도 보유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일 때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 대도시: 2억 4,100만 원 이하
- 중소도시: 1억 5,200만 원 이하
- 농어촌: 1억 3,000만 원 이하
이때 ‘주거용 재산 공제’가 적용됩니다. 즉, 실거주 주택의 일정 금액은 제외하고 계산합니다. 공제 한도는 대도시 6,900만 원, 중소도시 4,200만 원, 농어촌 3,500만 원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 거주 4인 가구가 전세보증금 1억 원, 예금 1,000만 원이라면 재산 기준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금융재산 기준은 얼마일까?
금융재산이란 예금, 적금, 보험 해약환급금 등을 포함합니다.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의 금융재산 기준은 생활준비금 + 600만 원 이하입니다. (단, 주거지원은 200만 원을 추가로 인정합니다.)
가구원 수 | 금융재산 기준 (이하) |
---|---|
1인 가구 | 8,392,000원 |
4인 가구 | 12,097,000원 |
즉, 1인 가구의 예금이 약 839만 원 이하라면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을 고려한 최소 생계자금 수준으로 산정된 금액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
생계지원금은 매달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2025년 기준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 월 지원금액 |
---|---|
1인 | 730,500원 |
2인 | 1,205,000원 |
3인 | 1,541,700원 |
4인 | 1,872,700원 |
5인 | 2,186,500원 |
6인 | 2,485,400원 |
7인 이상 | 1인 추가 시 286,900원씩 가산 |
이 금액은 식료품, 의복비, 냉방비 등 생계유지비로 지급되며, 현금 또는 현물 형태로 지원됩니다.
지원 제외되는 경우도 있을까?
다음에 해당하면 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위기상황이 아닌 단순 생활곤란 사유
- 소득·재산·금융재산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 유사 복지제도(기초생활보장 등)를 이미 지원받고 있는 경우
단, 상황이 달라지거나 새롭게 위기상황이 발생하면 재신청이 가능합니다.
상담 및 접수는 어디서?
거주지 시·군·구청 복지정책과(희망복지팀)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접수 가능합니다. 전화상담은 보건복지상담센터 129번으로 24시간 가능하며, 접수 후 담당 공무원이 현장 확인을 거쳐 지원 여부를 결정합니다.
👉 공식자료 확인하기: 보건복지부 긴급복지지원사업 안내
갑작스러운 위기에도 멈추지 않고 삶을 이어가기 위해, 제도를 아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생활이 어려워졌다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가까운 주민센터로 상담받으세요.